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무채혈혈당측정기 연속혈당측정기 정확도 원리

반응형

매일 혈당을 체크해야 하는 당뇨병을 앓는 환자분들은 매일 채혈을 할 때마다 반복되는 통증으로 인해 무채혈 혈당 측정 방식을 선호하게 되는데,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 연속혈당측정기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무채혈혈당측정기 연속혈당측정기 정확도와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연속혈당측정기 원리

복부의 피하지방에 센서를 부착하고 센서를 통해 세포 간질액의 당을 측정하여 송신기를 통해 5분마다 무선으로 혈당 수치를 스마트폰의 앱으로 전송하여 수시로 혈당을 확인할 수 있어서 하루 동안의 혈당 수치 패턴을 볼 수 있는 것이 연속혈당측정기 원리입니다



연속혈당측정기 구성

연속혈당측정기는 센서, 송신기, 수신기로 구성되어 있어 통증 없이 센서를 부착하는 것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1. 센서
실 같이 작은 센서로 피부에 부착하여 피부 조직으로 삽입되어 혈당 수치를 측정하게 됩니다

2. 송신기
센서에서 측정된 당 수치를 수신기로 전송을 합니다

3. 수신기
혈당값을 읽어 사용자에게 값을 알려주는 것으로 스마트폰을 스캔하면 혈당 수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속혈당측정기 장점

1. 혈액을 보지 않고 채혈 가능 
매일 채혈을 해야 하는 당뇨병 환자들은 잦은 채혈로 스트레스가 극심한데 연속혈당측정기는 채혈이 필요 없어 하루에도 여러 번 혈당 확인이 가능합니다

2. 당화혈색소 측정
당화 혈색소는 3개월 평균 혈당치를 반영하지만, 하루 혈당의 변동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하루 패턴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3. 수면 중에는 채혈이 힘들고 혈당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워 저혈당, 고혈당을 확인하기 어려운데 연속혈당측정기를 사용함으로써 즉각적인 혈당 상태를 체크할 수 있고, 의료진은 정확한 처방과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연속혈당측정기 단점

수면 중에도 채혈 없이 혈당을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손가락 채혈에 비해 세포 간 질액을 통해 당 수치를 측정하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센서 삽입으로 인해 운동하거나 야외활동 시 불편감을 느낄 수 있고 접촉성 피부염이 발생한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