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목감기와 혼동하기 쉬운 '역류성 식도염'에 대해 알아봐요

반응형

 

기온차가 커지는 계절엔 우리의 몸은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각종 질환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그리고 이때 많은 사람들이 겪는 대표적 질환이 바로 감기입니다. 감기는 나이나 성별을 가리지 않고 누구나 걸릴 수 있는 흔한 질환으로 증상이 심각하지 않다면 충분한 휴식으로 건강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쉬어도 감기 증상이 사라지지 않고 목에 이물감이 느껴지거나 마른기침과 같은 증상이 계속되면 목감기가 아닌 위장질환 중 하나인 '역류성 식도염'일 가능성이 높아요.

 

 

 

 

역류성 식도염, 목감기와 다른 점

목감기와 달리 역류성 식도염은 마른기침과 목이물감을 특징으로 하며 가슴에 불이 난 것처럼 쓰라린 통증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또 답답한 명치와 소화불량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증상들과 함께 목으로 위산이나 위액, 위 내용물들이 역류하여 넘어오는 것 같다면 이는 역류성식도염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방치할수록 더 악화되는 역류성식도염

속이 아무리 쓰리고 마른기침이 계속된다고 해도 '이러다 말겠지'라는 생각으로 약을 먹지 않고 방치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때 진행성 질환 특징을 가진 역류성식도염을 그대로 방치한다면 방치한 기간만큼 증상이 심해져서 결국 궤양, 식도 협착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제산제로 위산의 과도한 분비를 억제하여 위장을 보호하는 방법이 있는데 제산제를 복용해도 쉽게 역류성식도염이 개선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히 과도한 위산 분비에만 신경 쓸 것이 아니라 위장의 근본적인 건강 문제 유무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담적증후군, 낫지 않는 역류성 식도염의 숨은 원인

한의학에서는 역류성식도염의 원인을 담적증후군으로 봅니다. 담적증후군은 잘못된 식습관으로 생성된 담 독소가 위장 외벽에 쌓여 위장 기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곧 하부식도 괄약근의 기능까지 떨어뜨리면서 제산제로도 낫지 않는 역류성식도염을 발생하게 됩니다. 담적증후군이 원인일 경우 이에 대한 임상경험이 풍부한 의료기관을 찾아야 합니다.

 

 

반응형